영화의 전당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트정보
home  > 영화  > 영화와 비평  > 영화평론가 비평

영화평론가 비평

오디오 해설 영화관



영화에 대한 전문적 식견과 통찰력, 다양한 관점이 돋보이는 '영화평론가' 차별화된 평론을 만나는 공간입니다.
감독과 영화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한 논리적인 평론글로 여러분을 새로운 영화 세상으로 안내합니다.

한 전쟁의 역사 끝에서, <교섭>2023-01-26
교섭 스틸이미지

 

 

한 전쟁의 역사 끝에서, <교섭>

 

강선형 한국영화평론가협회

 

  2001911일 세계무역센터에 가해진 테러로 인해 시작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이 2021911일 막을 내렸다. 미국은 카불을 점령하고 탈레반 정권을 해체했으며, 2011년에는 오사마 빈 라덴을 사살하기도 했지만, 20년간 지속된 전쟁으로 인해 큰 손실을 보았고, 결국 탈레반은 미국이 떠난 자리를 그대로 신속하게 탈환했다. 20년 만의 일이다. 세대는 바뀌었을지라도 탈레반은 같은 깃발을 카불에 꽂았다. 이러한 전쟁의 역사 끝에서 <교섭>2007년 한국의 샘물교회 선교단이 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에게 납치된 사건을 다시 비춘다. 종교의 깃발 아래에서 테러가 일어나고, 전쟁이 이어지며, 무모한 여정이 감행되고, 자비 없는 죽음이 발생한다.

 

교섭 스틸

 

  그들은 왜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을까? 무엇이 그들을 그렇게 만들었는가? 이 질문은 대책 없이 떠난 여행자들에게도 던져져야만 하는 질문이지만(무엇이 그들을 그토록 맹목적으로 만들었는가? 유일신이라는 믿음 아래서는 종교에서 가르치는 관용과 환대도 소용없는 것일까?), 탈레반에게도 던져져야만 하는 질문이다. 미국이 장악한 카불에서 쫓겨난 그들이 돈벌이로 삼았던 것이 납치가 아니었던가? 그렇다면 돈이면 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한국의 철군을 요구하고, 탈레반 수감자의 석방을 요구하고, 협상에 나선 외교관 재호(황정민)머니라는 말을 협상 테이블에 올리자 분개한다. 그리고 정말로 돈이 전부가 아니라는 듯이 더 큰 희생을 막기 위해 석방금을 협상한다. 정말로 탈레반은 그런 자들이었을까? 신을 부르짖으며 신의 이름으로 가장 잔인하게 인질 살해를 감행하는 자들이 아닌가? 미국이 떠난 카불에서 현재 일어나고 있는 탄압과 폭력을 보라.

 

교섭 스틸

 

  이렇게 무수한 질문들을 낳는 사건에 대해 그리면서 <교섭>은 그것들을 모두 피해 간다. 탈레반에 대해서도, 무모하게 떠난 이들에 대해서도 묻지 않는다. 협상에 나선 외교관 재호와 국정원 요원 대식(현빈), 그리고 통역을 맡은 카심(강기영)의 이야기를 풀어낼 뿐이다. 여행자들이 어떤 이유를 가지고 있든, 탈레반이 어떤 존재들이든, 오직 목적은 자국민의 안전한 귀국 하나이다. 그래서 이런 목적을 가진 영화의 주요 인물, 재호와 대식 두 사람에게서는 아주 작은 원망도 찾아볼 수 없다. 정말로 선교단인 그들이 아무 죄가 없는지는 아프가니스탄 정부 측을 통해서 발화될 뿐이다. 그리고 오직 이 한순간 재호의 표정에서 복잡한 표정이 스쳐 지나간다. 카심을 통해서도 대면 협상을 떠나는 마지막 순간 잠시 원망이 드러나지만, 대한민국 정부에 속한 두 주요 인물이나 다른 외교부 직원들을 통해서는 결코 어떤 질문도 발화되지 않는다. 이것이 영화의 전략이라면 전략일 것이다.

  대식에 대해서는 그의 과거가 그려지면서 어떤 의문을 품을 자그마한 시간의 틈도 없다는 듯한 그의 태도가 설명된다. 그는 과거 이라크에서 한국인의 피살을 막지 못했던 일로 고통받고 있었다. 바로 김선일 피살사건이다. 당시 이라크에서 김선일을 납치한 유일신과 성전은 이라크에서의 한국군 철수를 요구했는데, 이 요구가 거부되어 김선일은 사살되었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한국군의 철수뿐만 아니라 수감자의 석방을 요구했고, 또 석방을 요구하는 수감자의 인원도 늘어났다. 23명의 한국인을 구출하기 위해 한국군을 철수하는 일은 가능한 일이었지만, 그 밖의 일들은 한국 정부가 결정할 수 없는 일이었다. 이것이 대식이 촌각을 다투며 고군분투할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그런데 재호에 대해서는 어떤 설명도 제시되지 않는다. 그저 성실하고 정의로운 공무원이면 되는 것일까?

 

교섭 스틸

 

  이렇게 영화가 민감한 질문들을 피해 가면서 남긴 것은 동기를 설명할 수 없는 인물이다. 실제 사건들과 있을 법한 관점들, 그리고 있을 법한 사건들을 충실히 재현해내었다고 할 수 있을지라도, 던져지지 못한 의문들에 대한 의문을 남길 수밖에 없는 것이다. 왜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호는 그들을 자신의 목숨을 걸어가며 지켰어야 했는가? 재호라는 인물에게 어떤 고뇌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우리는 그가 가진 신념, 종교적 신념과는 다른 신념일 그 신념을 마주할 기회를 잃어버렸다.

  철학자 자크 데리다는 국가와 종교 간의 원리상의 분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정치가 성서에 준거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 바 있다. 이는 기독교의 성서에 준거하는 미국과 샤리아에 준거하는 이슬람 국가 모두에 해당한다. ‘God bless America’악의 축같은 말들을 떠올려보면 잘 알 수 있다. 이슬람 국가의 표어들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모든 것은 종교의 깃발 아래에서 일어나고 있는 전쟁이다. 그것이 무엇을 감추고 있던 간에 말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세계의 모든 기독교인이 기독교 국가의 정치적 결정에 동의하지는 않으며, 무모한 선교 여행을 떠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마찬가지로 모든 이슬람이 근본주의를 자처하는 자들과 그들 자신을 동일시하지 않는다는 사실 또한 중요하다. 영화는 전쟁의 역사 끝에서 이 단순하고도 중요한 사실을 드러냈어야 했을 것이다. 종교의 깃발 아래에서 끊임없이 일어나는 전쟁과 폭력들 사이에서도 다른 신념을 가진 자들이 있다는 것 말이다. 그리고 진정한 교섭(交涉)은 결코 자신의 성전 바깥으로는 한 발짝도 내디딜 수 없는 사람들에게서가 아니라, 그들 사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재호의 마음은 성실한 공무원의 당연한 마음 이상으로 더 잘 표현되었어야 했다. 이미 무화된 협상카드를 들고 테러리스트를 직접 만나러 가는 그의 마음 말이다. 종교적 신념도 아니고 공무원적 신념도 아닌 그의 마음이 우리의 마음에 닿을 수 있도록…….

다음글 영화를 향한 <바빌론>의 직유법
이전글 영화 <시간을 꿈꾸는 소녀>가 편견을 깨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