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MOVIE
김경욱의 영화사회학
영화사에서 기획과 시나리오 컨설팅을 했고, 영화제에서 프로그래머로 활동했다. 영화평론가로 글을 쓰면서 대학에서 영화 관련 강의를 하고 있으며, 한국영화평론가협회 기획이사로 활동 중이다. 『르몽드디플로마티크』에 「김경욱의 시네마크리티크」를 연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블록버스터의 환상, 한국영화의 나르시시즘』(2002), 『나쁜 세상의 영화사회학』(2012), 『한국영화는 무엇을 보는가』(2016), 『영화와 함께 한 시간』(2022) 등이 있다.
- 집 한 채를 지어가는 사람들에 대하여 - 영화 <한 채>2024-12-02
-
집 한 채를 지어가는 사람들에 대하여 – 영화 <한 채>
송아름(영화평론가)
‘집 한 채’라는 표현이 안온함과 멀어진 지 오래다. ‘집 한 채’는 있어야 한다는 말은 이제 적당한 곳에, 적당한 평수로, 그래서 적당히 가치있는 자산이 될 공간을 가져야 한다는 의미로 흡수되었다. 누군가에겐 이를 욕망하는 것조차 죄라는 생각이 들 만큼 이 나라에서 집을 마련한다는 건 감히 꿈꾸는 것조차 두려운 일이 되었다. 그럼에도, 무리를 해서라도 영혼이라도 끌어들여 내 손에 쥐고 싶은 것이 집이다. 바로 이 집을 돈도 없고, 일을 하는 것도 여의치 않고, 옆에서 돌보아야만 하는 자식이 있는 이가 얻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영화 <한 채>는 집 한 채를 가지려던 이들의 불편한 만남을 시작점에 두고 새롭게 집을 지어가는 이들의 모습을 천천히 따라간다.
문호(임후성)와 고은(이수정) 부녀의 등장은 영화가 불안함을 가득 안고 이야기를 풀어가겠다는 선언처럼 보였다. 영화는 문호가 지적장애를 가진 고은을 통해 아주 사소한 이익을 취하는 모습부터 보여준다. 두 사람이 잠시 대화를 나눈 후 혼자 옷가게로 들어간 고은은 옷을 고르고 값을 지불하지 않아 가게 주인을 당황케 하고, 모르는 척 들어선 문호는 원래의 값보다 싸게 고은의 옷을 마련한다. 숙박 업소에 짐을 푸는 두 사람, 딸을 이용하는 듯한 문호의 모습은 두 사람의 과거와 앞으로에 대해 불안의 기운을 흩뿌렸다. 그리고 문호가 처음보는 도경(이도진)과 고은을 위장 결혼시켜 집을 분양받으려 한다는 사실이 드러날 때 불안이 범의(犯意)로 확장되는 것은 아닐지 초조하게 만들기도 한다.
부녀가 만난 도경은 홀로 아이를 키우며 일로 하루를 채워가는 이였다. 위장 결혼의 상대가 자신의 딸과 비슷한 정신 연령의 여성이라는 데에 불만을 보이면서도 결국 가족처럼 보이는 사진을 찍고 문호와 고은을 집에 들인다. 이 방법 외에 집을 얻을 수 있는 다른 길은 없는 탓이다. 이미 본 것처럼 문호와 고은의 사정도 다르지 않다. 더 이상 갈 곳도 없고 문호 홀로 고은을 돌보는 것도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선택지는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세 사람이 함께하게 되었을 때 영화는 천천히 불안의 흔적을 지워간다. 문호는 도경과 고은을 깨워 아침을 지어 먹이고 도경의 도시락을 챙긴다. 침묵 속의 식사지만 문호는 창을 바라보는 도경의 시선을 잡아내고 춥다는 한 마디에 문을 닫아준다. 최대한 고은의 시선에서 현재의 상황을 이해시키려는 문호의 태도는 이전의 불안을 걷어내며 세 사람의 동행을 바라보게 한다.
물론 전혀 모르던 이들이 함께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택배일을 돕는 고은은 이해할 수 없는 고집으로 일을 망치기도 하고, 도경의 대리운전을 대신 하겠다던 문호는 고객과 싸우며 오히려 일을 만든다. 그러나 영화는 도경이 이들에게 불평을 하거나 화를 내는 모습을 보여주는 대신 비슷한 일상을 반복적으로 보여주며 조금씩 익숙해지는, 그래서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펼쳐둔다. 이것으로 <한 채>는 집이라는 물리적 공간이 아니라 이를 채워나가는 이들에게 깊은 애정을 두고 있다는 것을 드러낸다. 그들이 살고 있던 공간들, 그러니까 여관방이 되었든, 낡은 고옥이었든, 비닐하우스였든 그곳을 채워가며 서로를 생각해주는 이들이 집을 이루는 것이었다. 조금씩 익숙해지고 무엇이 먹고 싶은지를 묻고 또 함께하는 것으로 집을 채우는 것, 이는 분명 사람이었다.
갑작스러운 위기가 닥쳐올 때 한 집에 살던 이들은 누군가의 빈자리를 채우며 자신의 자리를 확인하기도 한다. 세 사람도 그랬다. 문호는 분양과 관련한 약속이 어그러졌다는 것에 분노하고, 이 일로 인해 감옥에 들어간다. 더 이상 고은을 돌봐줄 사람이 없다고 생각했을 때, 또 도경을 깨워줄 사람이 사라졌다고 생각했을 때 이제 두 사람에겐 서로가 생긴다. 고은은 마치 자신의 아버지가 그랬던 것처럼 도경을 깨우고 어설프게나마 아침상을 차려낸다. 미처 익지 않은 밥이지만 도경은 이를 다시 데워 함께 식사를 한다. 도경은 고은과 함께 일을 다니거나 고은이 편히 생각할 수 있는 곳을 마련하며 문호의 역할을 대신한다. 튼튼해 보이지 않았던 세 사람의 관계는 생각보다 단단하게 서로를 얽는 울타리를 만들고 있었다.
시간이 지나고 문호가 했던 일은 이제 도경의 몫이 되었다. 비닐하우스 안에서 식물을 돌보고 발 밑의 콩 싹을 밟지 말라던 문호의 말은 고스란히 도경에게 옮겨갔다. 도경에게 이곳은 억지로 쥐어보려던 집 한 채가 절대 줄 수 없었던 편안함을 주었다. 종종 누나와 함께 고은이 내려오고 또 노을 속에 편안히 운전할 수 있는 바로 이곳이 그에겐 더 없이 안정적인 집이 된다. <한 채>는 ‘집’이라는 것에 대한 애착이 과연 어디를 향하고 있어야 하는지를 집요하게 담아낸다. 이젠 집착이라고 밖에 이야기할 수 없게 된 집에 대한 갈망은 그곳을 채울 이들을 긴 시간 배제해 왔다. 뼈대만 남은 집보다 이곳을 데울 수 있는 이들이 느리게 쌓아가는 것에 대한 긍정, <한 채>는 이렇게 집을 짓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한 셈이었다.
- 다음글 ‘너’를 이용하여 ‘나’를 탈출하려는 이들의 지옥도 - 영화 <원정빌라>
- 이전글 ‘네 가지 색’ <미망>